For faster navigation, this Iframe is preloading the Wikiwand page for 초대칭 대수.

초대칭 대수

초대칭 대수(超對稱代數, 영어: supersymmetry algebra)는 푸앵카레 대칭초대칭을 나타내는 리 초대수다.

정의

[편집]

푸앵카레 대수는 시공에 대한 병진 로런츠 변환 로 이루어진다. 이들은 보손적 생성자다. 여기에 일련의 페르미온적 생성자 를 추가한다. (만약 개의 초대칭이 있으면 .) 이들은 초대칭을 나타낸다.

푸앵카레 대수는 차원의 시공에서 개의 병진 생성자와 개의 로런츠 변환으로 총 차원이다. (일 경우에는 물론 10차원.) 여기에 개의 초대칭이 있는 경우에는 (중심 전하를 무시하면) 초대칭 대수는 총 차원이 된다.

주어진 시공간 차원에서, 초전하(영어: supercharge)의 수는 그 차원에서의 최소 스피너 표현의 차원의 정수배이다. 이 정수를 통상적으로 이라고 쓴다. 가장 간단한 초대칭은 이며, 인 경우를 확장 초대칭(영어: extended supersymmetry)이라고 한다. 4차원 민코프스키 공간에서의 최소 스피너 표현은 4차원 바일 또는 마요라나 스피너이므로, 초대칭은 4개의 초전하를 가진다.

초대칭은 서로 다른 스핀의 입자들을 연관지으므로, 초대칭이 더 많을 수록 더 높은 스핀의 입자가 필요하다. 스핀이 2를 초과하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이론을 정의할 수 없다. 만약 초전하의 수가 32를 초과하는 경우 스핀이 2를 초과하는 입자가 필요하므로, 초전하는 최대 32개가 존재할 수 있다. 32개의 초전하의 경우 스핀이 2인 입자(중력자)가 필요하므로, 이는 초중력 이론을 이룬다. 11차원 초중력이나 10차원 IIA/B 초중력, 4차원 초중력[1] 등이 그 예이다.

만약 중력을 포함하지 않으려면, 입자의 스핀은 최대 1이어야 한다. (스핀이 1½인 경우는 그래비티노로, 중력이 없이는 상호작용하는 그래비티노를 포함할 수 없다.) 이 경우에는 초전하의 수는 최대 16이다. 10차원 초대칭 양-밀스 이론이나 4차원 초대칭 양-밀스 이론[2] 이 그 예이다.

다양한 시공간 차원에서 가능한 초대칭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12차원 이상에서는 자명하지 않은 초대칭 이론이 존재할 수 없다고 여겨진다.)

시공간의 차원 의 초전하수
다양한 차원의 민코프스키 공간에서의 최소 초대칭 수
11 32
10, 9, 8, 7 16
6, 5 8
4 4
3 2
2,1 1
시공간의 차원 32개의 초전하 16개의 초전하 8개의 초전하 4개의 초전하 2개의 초전하
차원 축소에 따른 초대칭. 주어진 칸의 초대칭을 차원 축소하면 그 밑에 있는 초대칭들을 얻는다.
11 (불가능)
10 (IIA종) (IIB종) (I종) (불가능)
9
8
7
6 (불가능)
5
4 (불가능)
3 (불가능)
2

4차원 초대칭

[편집]

4차원에서, 초대칭은 (디랙 스피너이므로) 총 4개의 초전하를 가진다. 즉, 일반적으로는 개의 초전하가 존재한다. 이 경우, 흔히 볼 수 있는 것은 , , 초중력이다. 중력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인 경우는 와인버그-위튼 정리에 걸려 자명한 이론이 되고, 중력을 포함한다고 해도 까지만 가능하다.

주어진 에 대하여, 초대칭 대수의 생성원은 다음과 같다.

  • 병진 변환
  • 회전
  • 초대칭 , (). 이는 R대칭군의 크기가 인 "벡터 표현"을 따른다. 이 표현을 라고 쓰자.
  • R대칭 R대칭딸림표현을 따른다. 이 표현을 라고 쓰자.
  • 중심 원소

이들의 리 초괄호는 다음과 같다.

즉, 초대칭 전하는 일종의 운동량의 제곱근으로 생각할 수 있다.

위상 뒤틀림

[편집]

4차원에서는 또는 인 경우 위상 뒤틀림(영어: topological twist)을 가해 위상 양자장론으로 만들 수 있다. 이 경우, 인 경우는 SU(2) R대칭 로런츠 대칭의 두 좌·우 성분 가운데 하나와 대각군을 취하며, 인 경우는 서로 동일하지 않는 3가지의 가능한 뒤틀림이 존재한다.

초다중항

[편집]

4차원 민코프스키 공간에서 상호작용이 가능한 초다중항들은 다음과 같다.

    • 손지기 초다중항(영어: chiral multiplet): 복소 스칼라장, 바일 스피너
    • 벡터 초다중항(영어: vector multiplet): 바일 스피너, 게이지장
    • 중력자 초다중항(graviton supermultiplet): 중력자, 바일 그래비티노
    • 하이퍼 초다중항(영어: hypermultiplet): 복소 스칼라장(×2), 디랙 스피너
      • 서로 다른 나선도의 두 손지기 초다중항으로 구성된다. 게이지 대칭이 있는 경우, 하나는 표현 R, 다른 하나는 그 복소 켤레 표현 R을 따른다.
    • 벡터 초다중항: 복소 스칼라장, 디랙 스피너, 게이지장
      • 벡터 초다중항과 (게이지 딸림표현) 손지기 초다중항으로 구성된다.
    • 중력자 초다중항: 중력자, 디랙 그래비티노, 중력광자
    • 벡터 초다중항: 실수 스칼라장 (×6), 바일 스피너 (×6), 게이지장
    • 중력자 초다중항
    • 중력자 초다중항

3차원 초대칭

[편집]

3차원 민코프스키 공간에서의 초대칭은 다음과 같다.[3] 이 경우 초대칭은 2개의 초대칭을 가지며, 마요라나 스피너가 된다.

여기서 중심 확대 는 반대각화하여 개의 실수 고윳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 초대칭에서는 하나의 중심 전하 가 존재하며, 이 경우 모든 물리적 상태들의 질량 은 BPS 부등식

를 만족시킨다.[3]:(19)

3차원 민코프스키 공간에서 상호작용이 가능한 초다중항들은 다음과 같다. 3차원에서는 게이지장을 로 실수 스칼라로 이중화할 수 있다. 즉, 3차원에서는 스칼라장 및 (마요라나) 페르미온만이 존재한다.

  • : 실수 스칼라장 (×1), 마요라나 스피너 (×1). R대칭은 없다.
  • [4]: 실수 스칼라장 (×2), 마요라나 스피너 (×2). R대칭은 U(1). 이 경우는 4차원 축소화하여 얻는다. 이 경우 게이지 이론의 거울 대칭이 존재한다.
  • 마찬가지로 등이 존재한다.

6차원 초대칭

[편집]

6차원 민코프스키 공간에서는 2차 미분형식 퍼텐셜 게이지장이 존재한다. 이 경우, 질량껍질 위에서, (1차 미분형식) 게이지장은 4개의 자유도를, 바일 스피너는 4개의 자유도를, 2차 미분형식 게이지장은 3개의 자유도를 가진다.

  • . R대칭은 SU(2)이다.
    • 하이퍼 초다중항: 실수 스칼라장 (×4), 바일 스피너 (×1)
    • 벡터 초다중항: 1차 형식 게이지장 (×1), 바일 스피너 (×1)
    • 텐서 초다중항: 2차 형식 게이지장 (×1), 바일 스피너 (×1), 실수 스칼라 (×1)
  • . R대칭은 SO(4)이다.
    • 벡터 초다중항: 1차 형식 게이지장 (×1), 디랙 스피너 (×1), 실수 스칼라장 (×4)
  • . R대칭은 SO(5)이다.
    • 텐서 초다중항: 2차 형식 게이지장 (×1), 왼쪽 바일 스피너 (×2), 실수 스칼라장 (×5)

2차원 초대칭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Ferrara, Sergio; Alessio Marrani (2011년 3월). “Perturbative and non-perturbative aspects of supergravity” (영어). arXiv:1103.5138. Bibcode:2011arXiv1103.5138F.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46) (도움말)
  2. Seiberg, Nathan (1998). “Notes on theories with 16 supercharges”. 《Nuclear Physics B Proceedings Supplement》 (영어) 67 (1–3): 158–171. arXiv:hep-th/9705117. Bibcode:1998NuPhS..67..158S. doi:10.1016/S0920-5632(98)00128-5. 
  3. McKeon, D. G. C.; T. N. Sherry. “Supersymmetry in three dimensions” (영어). arXiv:hep-th/0108074. 
  4. Aharony, O.; Hanany, A.; Intriligator, K.; Seiberg, N.; Strassler, M.J. “Aspects of N=2 supersymmetric gauge theories in three dimensions” (영어). arXiv:hep-th/9703110. 

외부 링크

[편집]
{{bottomLinkPreText}} {{bottomLinkText}}
초대칭 대수
Listen to this article

This browser is not supported by Wikiwand :(
Wikiwand requires a browser with modern capabilities in order to provide you with the best reading experience.
Please download and use one of the following browsers:

This article was just edited, click to reload
This article has been deleted on Wikipedia (Why?)

Back to homepage

Please click Add in the dialog above
Please click Allow in the top-left corner,
then click Install Now in the dialog
Please click Open in the download dialog,
then click Install
Please click the "Downloads" icon in the Safari toolbar, open the first download in the list,
then click Install
{{::$root.activation.text}}

Install Wikiwand

Install on Chrome Install on Firefox
Don't forget to rate us

Tell your friends about Wikiwand!

Gmail Facebook Twitter Link

Enjoying Wikiwand?

Tell your friends and spread the love:
Share on Gmail Share on Facebook Share on Twitter Share on Buffer

Our magic isn't perfect

You can help our automatic cover photo selection by reporting an unsuitable photo.

This photo is visually disturbing This photo is not a good choice

Thank you for helping!


Your input will affect cover photo selection, along with input from other users.

X

Get ready for Wikiwand 2.0 🎉! the new version arrives on September 1st! Don't want to w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