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 faster navigation, this Iframe is preloading the Wikiwand page for 누적 위계.

누적 위계

집합론에서 누적 위계(累積位階, 영어: cumulative hierarchy)는 주어진 연산을 초한 점화식을 사용하여 초한 번 반복하여 구성되는 모임이다.

정의

[편집]

집합집합에 대응시키는 연산이라고 하자. 또한, 추이적 집합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초한 귀납법을 사용하여, 임의의 순서수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집합들을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다음과 같은 모임을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는 모든 순서수모임이다. 이러한 구성을 누적 위계라고 하며, 임의의 대상 에 대하여,

에서의 계수(영어: rank)라고 한다. (만약 가 주어지지 않았다면, 이는 흔히 폰 노이만 위계에서의 계수를 뜻한다.)

성질

[편집]

가 집합을 집합으로 대응시키므로, 임의의 순서수 에 대하여 는 항상 집합이다.

그러나 는 집합이 아니라 고유 모임일 수 있다. 이는 칸토어 역설의 일종이다.

[편집]

자명한 경우

[편집]

어떤 집합 에 대하여, 상수 함수 일 때, 에 대한 위계는

가 된다.

항등 함수 일 때, 에 대한, 로부터 시작하는 위계는

이다. 보다 일반적으로, 어떤 순서수 가 다음 성질을 갖는다고 하자.

  • 임의의 에 대하여 에 대하여 항등 함수이다.

그렇다면

이다.

폰 노이만 전체

[편집]

(멱집합 연산)일 때, 로 표기하며, 폰 노이만 전체(von Neumann全體, 영어: von Neumann universe)라고 한다.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에서는 정칙성 공리로 인하여 는 모든 집합의 모임과 같으며, 집합 계수 는 다음과 같은 순서수이다.

즉, 가 부분 집합으로 등장하는 최초의 단계이다.

는 (모든 집합을 포함하므로)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의 표준 모형이다. 최소 무한 순서수로 쓰면, 계승적 유한 집합들의 집합이 되며, 이는 무한 공리를 가정하지 않는 집합론의 모형을 이룬다. 도달 불가능한 기수일 경우 선택 공리를 추가한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의 모형이며, 은 모스-켈리 집합론의 모형이다. 이러한 꼴의 그로텐디크 전체라고 한다.

구성 가능 전체

[편집]

(정의 가능 멱집합 연산)일 때, 로 표기하며, -구성 가능 집합(영어: -constructible universe)이라고 한다. 흔히 일 경우 로 표기하며, 일 경우 흔히 로 표기한다.

이름

[편집]

임의의 집합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연산

에 대한 누적 위계를 -이름 위계(영어: hierarchy of -names)라고 하며,[1]:188, Definition VII.2.5 로 표기한다. 이 개념은 강제법에 핵심적으로 사용된다.

역사

[편집]

1889년에 주세페 페아노는 참 또는 모든 대상들의 모임라틴어: vērum 베룸[*](참)의 머리글자 V로 나타내었다.[2]:VIII, XI (페아노는 명제와 이로부터 정의되는 모임을 구별하지 않았다.)

이후 1928년에 존 폰 노이만초한 귀납법을 도입하였으나,[3][4] 폰 노이만은 구성 가능 전체를 도입하지 않았다.[5]:279, §4.10에른스트 체르멜로가 1930년에 이를 사용하여 폰 노이만 전체 를 최초로 도입하였다.[6]:36–40[5]:270, §4.9

각주

[편집]
  1. Kunen, Kenneth (1980). 《Set theory: an introduction to independence proofs》 (영어). North-Holland. ISBN 0-444-85401-0. 
  2. Peano, Ioseph (1889). 《Arithmetices principia: nova methodo exposita》 (라틴어). 토리노: Ediderunt fratres Bocca, regis bibliopolae. 
  3. von Neumann, J. (1928). “Die Axiomatisierung der Mengenlehre”. 《Mathematische Zeitschrift》 (독일어) 27: 669–752. doi:10.1007/bf01171122. 
  4. von Neumann, J. (1928). “Über die Definition durch transfinite Induktion und verwandte Fragen der allgemeinen Mengenlehre”. 《Mathematische Annalen》 (독일어) 99 (1): 373–391. doi:10.1007/bf01459102. ISSN 0025-5831. 
  5. Moore, Gregory H. (1982). 《Zermelo’s axiom of choice: its origins, development, and influence》. Studies in the History of Mathematics and Physical Sciences (영어) 8. Springer-Verlag. doi:10.1007/978-1-4613-9478-5. ISBN 978-0-486-48841-7. ISSN 0172-570X. 
  6. Zermelo, Ernst (1930). “Über Grenzzahlen und Mengenbereiche: Neue Untersuchungen über die Grundlagen der Mengenlehre” (PDF). 《Fundamenta Mathematicae》 (독일어) 16: 29–47. 

외부 링크

[편집]
{{bottomLinkPreText}} {{bottomLinkText}}
누적 위계
Listen to this article

This browser is not supported by Wikiwand :(
Wikiwand requires a browser with modern capabilities in order to provide you with the best reading experience.
Please download and use one of the following browsers:

This article was just edited, click to reload
This article has been deleted on Wikipedia (Why?)

Back to homepage

Please click Add in the dialog above
Please click Allow in the top-left corner,
then click Install Now in the dialog
Please click Open in the download dialog,
then click Install
Please click the "Downloads" icon in the Safari toolbar, open the first download in the list,
then click Install
{{::$root.activation.text}}

Install Wikiwand

Install on Chrome Install on Firefox
Don't forget to rate us

Tell your friends about Wikiwand!

Gmail Facebook Twitter Link

Enjoying Wikiwand?

Tell your friends and spread the love:
Share on Gmail Share on Facebook Share on Twitter Share on Buffer

Our magic isn't perfect

You can help our automatic cover photo selection by reporting an unsuitable photo.

This photo is visually disturbing This photo is not a good choice

Thank you for helping!


Your input will affect cover photo selection, along with input from other users.

X

Get ready for Wikiwand 2.0 🎉! the new version arrives on September 1st! Don't want to w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