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 faster navigation, this Iframe is preloading the Wikiwand page for 신 (불교).

신 (불교)

(身)의 기본적인 뜻은 산스크리트어팔리어kāya에 해당하는 또는 신체이지만, 이외에도 여러 가지 뜻이 있다. 산스크리트어팔리어kāya를 음역하여 가야(迦耶)라고 한다. 《대승광오온론》에 따르면 가야(迦耶, kāya)라는 낱말은 여러 가지 요소들의 화합적취(和合積聚: 화합하여 쌓임 또는 화합하여 쌓인 것) 또는 적집(積集: 쌓임, 쌓인 것)을 뜻한다.[1][2]

특히, 6식신(六識身) · 6촉신(六觸身) · 6수신(六受身) · 6애신(六愛身) · 6상신(六想身) · 6사신(六思身)이나 식신(識身) · 촉신(觸身) · 수신(受身) · 애신(愛身) · 문신(文身) · 명신(名身) · 구신(句身) 등에서는 신(身)이 복수형 접미사 ‘’이나 집합[合集, 總說, 산스크리트어: samukti]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3][4] 이러한 용어들이 《아함경》 등의 한역 불교경전과 《구사론》 등의 불교논서에 드물지 않게 등장한다.

몸·신체

[편집]

(身, kāya)의 기본적인 뜻은 산스크리트어팔리어kāya에 해당하는 또는 신체이다.

나·자아

[편집]

(身, kāya)은 [我], 자아(自我) 또는 아트만(ātman)을 뜻하기도 한다.[5]

예를 들어, 5가지 오염된 견해인 5견(五見) 중의 하나인 유신견(有身見, 산스크리트어: satkāya-drsti, 팔리어: sakkāya-ditthi)에서 신(身, kāya)은 '몸'이 아니라 '나' 또는 '자아'를 뜻한다. 유신견(有身見)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몸이 있다는 견해'가 아니라 '나 또는 자아가 있다는 견해'이다.[6][7][8]

신근

[편집]

(身, kāya)은 신근(身根, 산스크리트어: kāyendriya)의 줄임말이다.[3][4]

복수형 접미사

[편집]

(身)은 '집합'의 뜻을 가지는데, 단어의 끝에 붙어서 해당 단어가 복수형이라는 것을 나타낸다.[3][4]잡아함경》 제13권 제304경 〈육륙경(六六經)〉은 이 경우의 좋은 예문이다.

有六六法。何等為六六法?謂六內入處、六外入處、六識身六觸身六受身六愛身


何等為六內入處?謂眼入處、耳入處、鼻入處、舌入處、身入處、意入處。
何等為六外入處,色入處、聲入處、香入處、味入處、觸入處、法入處。
云何六識身?謂眼識身耳識身鼻識身舌識身身識身意識身
云何六觸身?謂眼觸、耳觸、鼻觸、舌觸、身觸、意觸。
云何六受身?謂眼觸生受、耳觸生受、鼻觸生受、舌觸生受、身觸生受、意觸生受。
云何六愛身?謂眼觸生愛、耳觸生愛、鼻觸生愛、舌觸生愛、身觸生愛、意觸生愛。

여섯 가지 6법[六六法]이 있다. 어떤 것을 여섯 가지 6법이라고 하는가?
6내입처(內入處)·6외입처(外入處)·6식신(識身)·6촉신(觸身)·6수신(受身)·6애신(愛身)을 말한다.
어떤 것을 6내입처(內入處)라고 하는가? 안입처(眼入處)·이입처(耳入處)·비입처(鼻入處)·설입처(舌入處)·신입처(身入處)·의입처(意入處)를 말한다.
어떤 것을 6외입처(外入處)라고 하는가? 색입처(色入處)·성입처(聲入處)·향입처(香入處)·미입처(味入處)·촉입처(觸入處)·법입처(法入處)를 말한다.
어떤 것을 6식신(識身)이라고 하는가? 안식신(眼識身)·이식신(耳識身)·비식신(鼻識身)·설식신(舌識身)·신식신(身識身)·의식신(意識身)을 말한다.
어떤 것을 6촉신(觸身)이라고 하는가? 안촉(眼觸)·이촉(耳觸)·비촉(鼻觸)·설촉(舌觸)·신촉(身觸)·의촉(意觸)을 말한다.
어떤 것을 6수신(受身)이라고 하는가? 안촉과 동시에 생겨나는 느낌[眼觸生受]·이촉과 동시에 생겨나는 느낌[耳觸生受]·비촉과 동시에 생겨나는 느낌[鼻觸生受]·설촉과 동시에 생겨나는 느낌[舌觸生受]·신촉과 동시에 생겨나는 느낌[身觸生受]·의촉과 동시에 생겨나는 느낌[意觸生受]을 말한다.
어떤 것을 6애신(愛身)이라고 하는가? 이른바 안촉으로 생기는 애욕[眼觸生愛]·이촉으로 생기는 애욕[耳觸生愛]·비촉으로 생기는 애욕[鼻觸生愛]·설촉으로 생기는 애욕[舌觸生愛]·신촉으로 생기는 애욕[身觸生愛]·의촉으로 생기는 애욕[意觸生愛]을 말한다.

— 《잡아함경》 제13권 제304경 〈육륙경(六六經)〉. 한문본 & 한글본

참고 문헌

[편집]
  •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K.618, T.1612). 《대승오온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8(17-637), T.1612(31-848).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안혜 지음, 지바하라 한역, 조환기 번역 (K.619, T.1613). 《대승광오온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9(17-641), T.1613(31-850).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 한역 (T.99). 《잡아함경(雜阿含經)》. 대정신수대장경. T2, No. 99,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612). 《대승오온론(大乘五蘊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12,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안혜 조, 지바하라 한역 (T.1613). 《대승광오온론(大乘廣五蘊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13,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각주

[편집]
  1. 안혜 조, 지바하라 한역 & T.1613, p. T31n1613_p0852c23 - T31n1613_p0852c29. 살가야견(薩迦耶見)
    "云何薩迦耶見。謂於五取蘊。隨執為我。或為我所。染慧為性。薩謂敗壞義。迦耶謂和合積聚義。即於此中。見一見常。異蘊有我蘊。為我所等。何故復如是說。謂薩者破常想。迦耶破一想。無常積集。是中無我及我所故。染慧者。謂煩惱俱。一切見品所依為業。"
  2. 안혜 지음, 지바하라 한역, 조환기 번역 & K.619, T.1613, p. 11 / 24. 살가야견(薩迦耶見)
    "무엇을 살가야견이라고 하는가? 5취온에 대해서 집착함에 따라 나 혹은 나의 것이라는 오염된 지혜를 성질로 한다. 살(薩, sat)이란 깨어지고 부서진다는 뜻이다. 가야(迦耶, kaya)란 화합하여 쌓임의 뜻을 말한다. 즉 이 가운데서 하나[一]라는 견해, 영원[常]하다는 견해, 다른 온이 나라는 온으로 있고, 나의 것 등이라고 한다. 어떤 까닭으로 다시 이와 같이 말하는가? 살이란 영원하다는 생각을 깨트리고, 가야란 하나라는 생각을 깨트린다. 영원히 쌓여 있는 것이 없어 이 가운데서 나와 나의 것이 없기 때문이다. 오염된 지혜란 번뇌와 함께 하는 것을 말한다. 모든 견해의 종류들이 나타나는 행동양식이다."
  3. 곽철환 2003, "신(身)". 2012년 9월 26일에 확인
    "신(身):
    ① 산스크리트어 kāya 몸. 신체.
    ② 산스크리트어 ātman 나. 자신.
    ③ 산스크리트어 janma 생존.
    ④ 산스크리트어 kāya 신근(身根)의 준말.
    ⑤ 산스크리트어 kāya 인식 주체. 인식 작용을 일으키는 주체.
    ⑥ 산스크리트어 kāya 모임·종류의 뜻으로, 어미에 붙어 복수를 나타냄."
  4. 星雲, "". 2012년 9월 27일에 확인
    "身:
     (一)梵語 kāya。音譯迦耶。屬六根之第五,即身根。指觸覺器官之皮膚及其機能。然有部主張,身根乃眼所不能見之精妙物質(淨色),亦即指勝義根而言。然通常所說身與心並稱為身心,身與語(或口)、意並稱身語意(或身口意)之「身」則係指身體、肉體而言。
     (二)集合之意。即附加於語尾,表示複數之語,如六識身。
     (三)梵語 śarīra。身骨、遺骨之意。(參閱「舍利」3495)"
  5. 곽철환 2003, "신(身)". 2012년 10월 6일에 확인.
  6. 星雲, "有身見". 2012년 10월 6일에 확인.
  7. 운허, "有身見(유신견)". 2012년 10월 6일에 확인.
  8. 곽철환 2003, "유신견(有身見)". 2012년 10월 6일에 확인.
{{bottomLinkPreText}} {{bottomLinkText}}
신 (불교)
Listen to this article

This browser is not supported by Wikiwand :(
Wikiwand requires a browser with modern capabilities in order to provide you with the best reading experience.
Please download and use one of the following browsers:

This article was just edited, click to reload
This article has been deleted on Wikipedia (Why?)

Back to homepage

Please click Add in the dialog above
Please click Allow in the top-left corner,
then click Install Now in the dialog
Please click Open in the download dialog,
then click Install
Please click the "Downloads" icon in the Safari toolbar, open the first download in the list,
then click Install
{{::$root.activation.text}}

Install Wikiwand

Install on Chrome Install on Firefox
Don't forget to rate us

Tell your friends about Wikiwand!

Gmail Facebook Twitter Link

Enjoying Wikiwand?

Tell your friends and spread the love:
Share on Gmail Share on Facebook Share on Twitter Share on Buffer

Our magic isn't perfect

You can help our automatic cover photo selection by reporting an unsuitable photo.

This photo is visually disturbing This photo is not a good choice

Thank you for helping!


Your input will affect cover photo selection, along with input from other users.

X

Get ready for Wikiwand 2.0 🎉! the new version arrives on September 1st! Don't want to w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