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 faster navigation, this Iframe is preloading the Wikiwand page for 신라어.

신라어

신라어
사용 국가 신라
사용 민족 신라인
언어 계통 한국어족
 신라어
언어 부호
ISO 639-3 oko 신라어

신라어(新羅語)는 삼국시대남북국시대국가신라에서 사용된 고대 한국어의 방언이다.

연구

신라어 기반 가설

신라어 및 백제어가 고구려의 언어와 구별되는 언어였다는 주장은 구스타브 욘 람스테트와 고노 로쿠로(河野六郎)가 제시한 계통도에 이기문이 1967년 논문에서 발전시킨 내용을 기반으로 한다.[1] 신라어 기반 가설에서는 고구려의 언어를 백제나 신라와 다른 계통에 속한 이질적인 언어로 구분하나,[2] 각 세력이 사용했던 언어는 음운 체계와 문법 구조가 일치한다. 고구려어와 고려어 역시 어휘적 측면에서 유사하며 문법 구조가 일치한다.

현대 한국어가 신라어에서 기반한다는 가설은 고구려어의 이질어설과 함께 제시된다. 신라어가 한(韓)계에 속한 언어이고, 고구려어는 부여계 언어이므로 이들은 같은 언어 내에서의 방언적 차이가 아닌 언어적으로 완전히 이질적이라는 것이 고구려어의 이질어설과 함께 제시되는 논거이다. 박종덕은 이를 이기문 등의 연구자가 고노 로쿠로의 주장을 따른 것으로 여겼는데, 그 내용으로 다음을 들었다.

王姓夫余氏號於羅瑕民呼為鞬吉支夏言並王也妻號於陸夏言妃也
왕의 성은 부여씨이며 於羅瑕라고 불렀고, 민간에서는 鞬吉支라고 불렀다. 이는 하나라 말로 왕이라는 뜻이다. 그 처는 於陸이라 불렀는데 이는 하나라 말로 왕비이다.

《주서》 이역전 백제의 조의 기재는 명백히 지배자와 피지배자와의 사이에 언어적 상위가 있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즉 지배자의 언어는 부여계에 속하는 언어이며 피지배자의 언어는 한어(韓語)였다고 생각된다.

— 《朝鮮方言學試攷》 京城:京都書店, 261p.

하지만 주서 백제의 조 어느 부분에도 지배자의 언어와 피지배자의 언어에 대한 언급이 없는데, 고노 로쿠로가 이들 언어가 달랐다는 생각을 전제로 하고 해당 문헌을 풀이했기 때문이라고 보았다.[3] 부여계 언어와 한계의 언어가 상이함을 보여 주는 근거라고 가정해도, 이를 계통을 달리하는 언어적 차이라고 단정지을 순 없다는 점은 김방한이 1980년 한국어계통연구서설을 통해 지적하였다.[4][5]

한편, 해당 자료가 고구려, 백제, 신라의 언어가 이질적인 언어가 아님을 설명한다고 보고 이숭녕, 류렬, 김병제 등은 삼국의 언어가 의사소통에 장애가 없는 언어라는 주장을 지지했다.[6]

같이 보기

각주

  1. 박종덕 2011, 3쪽: "이는 G.J Ramstedt(1928, 1949) 및 河野六郎(1945)에서 제시한 계통도를 발전시킨 것이다. 이기문(1972, 41쪽)에도 흡사한 형태로 수록되어 있으며, 교육 과학 기술부가 저작권자로 되어 있는 현행 「문법』 교과서의 278쪽에도 수록되어 있다"
  2. 박종덕 2011, 1쪽: "신라어 기반 가설에서는 고구려어를 백제어나 신라어와 다른 계통에 속한 이 질적인 언어, 곧 이국어로 규정한다. 즉, 이에서는 오늘날의 한국어는 조선어를, 조선어는 고려어를, 고려어는 방언적 차이 정도만 있는 백제어를 흡수한 신라어를 계승한 것으로 본다. 그리고 고구려어는 신라어나 백제어와는 계통이 다른 언어, 곧 이질적인 언어이며, 단지 고려어에 '들온말'이라고 본다"
  3. 박종덕 2011, 8쪽: "따라서 이 말의 어느 부분에도 부여계 언어와 한계 언어, 지배자의 언어와 피지배자의 언어에 대한 언급이 되어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河野六郎(1945) 에서 (2)와 같이 풀이한 까닭은 미리 부여계 언어와 한계 언어를 상정하여 두고, 고구려어는 부여계 언어, 백제어와 신라어는 한계 언어라고 규정한 후, 이들 언어가 서로 달랐다는 것을 전제하였기 때문이다"
  4. 박종덕 2011, 8쪽: "설령, (3)이 부여계의 언어와 한계의 언어의 상이함을 보여 주는 근거라고 치더라도 이때의 '언어의 상이함'이 방언적 차이가 아닌, 계통을 달리하는 언어적 차이라고 속단할 그 어떤 근거도 (3)에서는 유추하기 어렵다. 실제로 김방한(1980)에서도 이 문제에 대해 (4)와 같이 언급한 바 있다."
  5. 김방한 1980, 29쪽: "「周書」異域傳의 百濟條에 「王姓夫餘氏號於羅瑕民呼為吉支夏言 竝王也」라 하여 이것은 夫餘高句麗系의 言語와 韓系의 言語의 相異함 을 단적으로 말해주는 것으로 자주 引用되는 句節이다. 一見하여 支配 族의 高句麗語와 被支配族의 土着語인 百濟語와의 言語差를 말해주는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한 例에 의해서 高句麗와 百濟의 言語가 根本的으로 系統을 달리하는 言語이었다고 速斷해서는 안된다"
  6. 박종덕 2011, 9쪽: "그러므로 이 문헌 자료에 따르면, 고구려어, 백제어, 신라어는 서로 의사소통에 장애가 없는 언어, 즉 단일어인 것이다. 이러한 주장은 이숭녕 (1967), 류렬(1983), 김병제 (1984) 등에 의해 지지되었다"

참고 자료

{{bottomLinkPreText}} {{bottomLinkText}}
신라어
Listen to this article

This browser is not supported by Wikiwand :(
Wikiwand requires a browser with modern capabilities in order to provide you with the best reading experience.
Please download and use one of the following browsers:

This article was just edited, click to reload
This article has been deleted on Wikipedia (Why?)

Back to homepage

Please click Add in the dialog above
Please click Allow in the top-left corner,
then click Install Now in the dialog
Please click Open in the download dialog,
then click Install
Please click the "Downloads" icon in the Safari toolbar, open the first download in the list,
then click Install
{{::$root.activation.text}}

Install Wikiwand

Install on Chrome Install on Firefox
Don't forget to rate us

Tell your friends about Wikiwand!

Gmail Facebook Twitter Link

Enjoying Wikiwand?

Tell your friends and spread the love:
Share on Gmail Share on Facebook Share on Twitter Share on Buffer

Our magic isn't perfect

You can help our automatic cover photo selection by reporting an unsuitable photo.

This photo is visually disturbing This photo is not a good choice

Thank you for helping!


Your input will affect cover photo selection, along with input from other users.

X

Get ready for Wikiwand 2.0 🎉! the new version arrives on September 1st! Don't want to w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