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 faster navigation, this Iframe is preloading the Wikiwand page for .

참깨(Sesamum indicum)와 들깨(Perilla frutescens var. frutescens)의 를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이름

[편집]

한국

[편집]

라고 하면 보통 참깨를 일컫는다.

참깨유마(油麻), 지마(脂麻/芝麻), 호마(胡麻), 진임(眞荏) 등으로 부르며, 들깨백소(白蘇), 수임(水荏), 야임(野荏), 임자(荏子) 등으로 부른다.

들깨는 빛깔에 따라 구분해 부르지 않지만, 참깨는 빛깔이 흰 것은 흰깨, 백유마(白油麻), 백지마(白脂麻/白芝麻), 백호마(白胡麻) 등으로 부르고, 빛깔이 검은 것은 검은깨, 검정깨, 흑유마(黑油麻), 흑지마(黑脂麻/黑芝麻), 흑호마(黑胡麻), 거승(苣蕂/苣勝/巨勝), 흑임자(黑荏子) 등으로 부른다.

흑임자는 검은 참깨이지만 임자는 들깨이다.

한자문화권

[편집]

일본어에서 참깨호마(일본어: ゴマ/胡麻 고마[*])로, 들깨임호마(일본어: エゴマ/荏胡麻 에고마[*])로 부른다.

중국어에서 참깨지마(중국어: 芝麻, 병음: zhīma 즈마[*])로, 들깨백자소(중국어 간체자: 白紫苏, 정체자: 白紫蘇, 병음: báizǐsū 바이쯔쑤[*])로 부른다.

중국어에서 자소(紫苏 쯔쑤[*])는 들깨차조기 등을 포함하는 들깨종(Perilla frutescens)을 일컫는 말로, 한국어에서 백소(白蘇), 청소(靑蘇), 적소(赤蘇)로 일컫는 아종들을 중국어에서는 백자소(白紫苏 바이쯔쑤[*]), 청자소(青紫苏 칭쯔쑤[*]), 홍자소(红紫苏 홍쯔쑤[*])로 부른다. 일본어에서 자소(紫蘇 시소[*])는 차조기(P. frutescens var. crispa)를 일컫는 말로, 들깨를 가리키지 않는다.

기타

[편집]

영어권에서 참깨새서미(영어: sesame)로, 들깨퍼릴라(영어: perilla)로 구분해 부른다.

쓰임새

[편집]

한국의 요리

[편집]

참깨들깨참기름들기름을 짜는 데 쓰기도 하지만, 기름을 짜지 않고 를 볶아서 요리에 쓰기도 한다. 도 먹는다. 깻잎요리에 쓰는 것은 주로 들깻잎이고, 참깻잎한약재로 쓴다. 깨의 을 쓰는 음식으로는 깨보숭이가 있다. 들깨의 꽃송이에 찹쌀가루를 묻혀서 기름에 튀겨 만든다.

  • 거승주: 참깨로 만든 술이다. 참깨를 약간 볶아 생강과 생용뇌를 섞고, 다시 볶아 찧어서 가루로 만들어 에 담근 뒤에 우려 만든다. 호마주라고도 부른다.
  • 깨강정: 찹쌀가루 반죽을 적당히 썰어서 말린 뒤에, 기름에 튀기고 꿀을 바른 위에 볶은 참깨를 묻힌 강정이다. 지마강정이라고도 부른다.
  • 깨고물: 참깨, 특히 검은깨를 볶아 곱게 빻아서 만든 고물이다. 이나 경단 등에 묻혀 먹는다.
  • 깨다식: 참깨로 만든 다식이다. 참깨를 볶아 곱게 빻아서 꿀이나 조청에 반죽하여 다식판에 박아 낸 뒤, 기름에 지져서 만든다.
  • 깨떡: 시루에 쌀가루를 안치고, 켜 사이에 깨고물을 뿌려서 찐 떡이다. 호마병이라고도 부른다.
  • 깨소금: 볶은 참깨를 빻은 것 또는 여기에 소금을 약간 넣은 양념을 일컫는다.
  • 깨엿: 볶은 참깨를 겉에 묻힌 이다.
  • 깨장: 참깨를 비롯한 여러 가지 양념을 넣어 만든 장이다.
  • 깨죽: 껍질을 벗긴 참깨에 찹쌀을 섞고 함께 갈아서 쑨 죽이다. 지마죽, 참깨죽, 호마죽으로도 부른다.
  • 깻가루: 참깨를 빻은 가루이다. 양념으로 쓰인다.
  • 깻국: 물에 불리거나 삶은 참깨를 맷돌에 물을 치며 갈아서 체에 밭은 물이다. 밀국수 등을 넣고 양념을 해 말아 먹는다. 지마냉탕이라고도 부른다.
  • 들깨엿: 을 고을 때 들깨를 넣어 만든 , 또는 들깻가루를 겉에 묻힌 엿이다.
  • 들깨죽: 들깨을 물에 불려 갈아서 쑨 이다. 들죽이라고도 부른다.
  • 들깻가루: 들깨를 빻은 가루이다. 나물이나 요리에 쓰인다.
  • 엿강정: 볶은 참깨들깨, 등을 엿에 버무려 만든 과자이다.
  • 지마장: 참깨를 타서 만든 간장이다.
  • 호마초: 참깨를 넣은 식초이다. 흰 참깨검은깨를 쪄서 빻은 다음 식초를 붓고 간장, 소금, 설탕 등을 섞어 만든다.

선식

[편집]

들깨검정깨현미, 찹쌀, 보리, 검정콩, 율무와 함께 불교 수도자들이 참선할 때 먹던 건강식의 재료이다. 선식은 위 일곱 가지 곡식으로 만들며 위에 부담을 주지 않고 머리를 맑게 한다.

다른 나라의 요리

[편집]

중국

[편집]
  • 참깨볼: 찹쌀가루로 만들어 튀긴 빵이다. 겉이 참깨로 뒤덮여 있으며, 식감이 바삭하고 쫄깃하다.

관용어

[편집]
  • 깨가 쏟아지다: "몹시 아기자기하고 재미가 나다"라는 뜻이다.[1]
  • 깨소금 맛: 남의 불행을 보고 몹시 통쾌하다는 뜻으로 하는 말이다.[2]
  • 깨춤(을 추다): "깨를 볶을 때에 톡톡 튀듯, 체구가 작은 사람이 방정맞게 까부는 모양"을 이르는 말이다.[3]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깨01”.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2016년 12월 2일에 확인함. 
  2. “깨소금”.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2016년 12월 2일에 확인함. 
  3. “깨춤”.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2016년 12월 2일에 확인함. 
{{bottomLinkPreText}} {{bottomLinkText}}
Listen to this article

This browser is not supported by Wikiwand :(
Wikiwand requires a browser with modern capabilities in order to provide you with the best reading experience.
Please download and use one of the following browsers:

This article was just edited, click to reload
This article has been deleted on Wikipedia (Why?)

Back to homepage

Please click Add in the dialog above
Please click Allow in the top-left corner,
then click Install Now in the dialog
Please click Open in the download dialog,
then click Install
Please click the "Downloads" icon in the Safari toolbar, open the first download in the list,
then click Install
{{::$root.activation.text}}

Install Wikiwand

Install on Chrome Install on Firefox
Don't forget to rate us

Tell your friends about Wikiwand!

Gmail Facebook Twitter Link

Enjoying Wikiwand?

Tell your friends and spread the love:
Share on Gmail Share on Facebook Share on Twitter Share on Buffer

Our magic isn't perfect

You can help our automatic cover photo selection by reporting an unsuitable photo.

This photo is visually disturbing This photo is not a good choice

Thank you for helping!


Your input will affect cover photo selection, along with input from other users.

X

Get ready for Wikiwand 2.0 🎉! the new version arrives on September 1st! Don't want to wait?